가족간 증여세 면제한도 2024 (+ 계산기)

가족간 증여세 면제한도 2024 버전 변경된 사항 및 증여세 계산기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 출산 및 혼인율이 점점 낮아지는 상황에 이를 개선하고자 정부에서는 몇 가지 사항을 조정하였는데요. 그 중 하나인 증여세 면제 한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증여세란?

증여세는 증여자로부터 재산을 받았을 경우에 그 재산을 중여받은 사람이 부담하는 세금을 의미합니다. 국내외에 있는 모든 증여재산에 대해 수증자가 납부할 의무가 있습니다.

재산을 증여받은 수증자가 세금을 납부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아래의 경우에 해당된다면 증여자가 연대해서 납부할 수 있습니다.

  • 수증자의 주소 혹은 거소가 분명하지 않아 조세채권 확보가 곤란한 경우
  • 수증자가 증여세를 납부할 능력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 강제징수를 해도 조세채권 확보가 곤란한 경우
  • 수증자가 비거주자인 경우

증여재산의 증여일

재산구분증여재산의 취득시기
등기, 등록을 요하는 재산소유권의 이전 등기, 등록 신청서 접수일
증여 목적으로 수증인 명의로 완성한 건물이나 취득한 분양권사용승인서 교부일, 사실상 사용일, 임시사용 승인일 중 빠른 날
타인의 기여에 의해 재산 가치가 증가한 경우재산가치 증가 사유 발생일
주식 및 출자지분객관적으로 확인된 주식 등 인도일 (인도일이 불분명하거나 인도전 명의개서 시 명부 등의 명의개서일)
무기명채권이자지급 등으로 취득사실이 객관적으로 확인된 날(불분명시 이자지급, 채권상황을 청구한 날)
그 외의 재산인도한 날 또는 사실상의 사용일

가족간 증여세 면제한도 2024

2023년2024년
배우자6억원6억원
직계존속 > 직계비속– 성인 : 5천만원
– 미성년자 : 2천만원
– 성인 : 5천만원
– 미성년자 : 2천만원
혼인공제 1억원
직계비속 > 직계존속5천만원5천만원
기타 친족1천만원1천만원

혼인 및 출산률 장려를 위해 2024년부터는 부모가 자녀에게 결혼의 명분으로 최대 1억 ~ 1.5억까지 재산을 비과세로 증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 자녀의 혼인 신고일 기준으로 전/후 2년 총 4년간 적용이 됩니다.

이는 양가 모두 해당되기 때문에 결혼 예정인 부부는 최대 3억까지 증여세 없이 부모님에게 재산을 증여받을 수 있습니다.

단, 가족간 증여세 면제한도 신고기한을 놓치거나 잘못 계산 했을 경우 증여세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니 반드시 증여세 계산기로 먼저 계산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
2024년 증여세율표

과세표준세율누진공제
1억 이하10%x
1억 초과 ~ 5억 이하20%1천만원
5억 초과 ~ 10억 이하30%6천만원
10억 초과 ~ 30억 이하40%1억 6천만원
30억 초과50%4억 6천만원

함께 보면 좋은 글

📍 월세액 세액공제 개정안 >
📍 소득금액증명원 발급 방법 >
📍 부동산 공시지가 조회 >

증여세 면제한도

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?

별을 눌러주세요!

평균 평점 5 / 5. 투표수: 392

이 게시물은 구독자의 반응이 좋은 글입니다. 함께 평가해 보세요.

error: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.